본문 바로가기
경제/5분 주식 공부

유상증자는 왜 하는 걸까?(2) 유상증자로 재무구조를 개선하는 저가항공사들

by 오후식 2021. 8. 3.
반응형

앞선 글 "유상증자가 도대체 뭐야? 유상증자 5분만에 이해하기"에서 유상증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저가항공사(LCC)의 유상증자 사례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유상증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글의 내용이 조금 어려울실 수 있는데, 만약 이 글을 읽고 이해하기가 어렵게 느껴지신다면, "적자 기업이 유상증자를 결정할 경우 투자에 매우 주의하자" 정도로 이해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그리고 유상증자가 무엇인지 잘 모르신다면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유상증자가 도대체 뭐야? 유상증자 5분만에 이해하기

주식투자를 하다보면 유상증자라는 것에 대해 들어보신 적이 있을 겁니다. 제가 주식을 입문했을 당시 한 지인께서는 유상증자는 무조건 안좋은거다라고 말해준 적이 있었는데요. 유상증자가

mataoh.tistory.com

 

코로나 19 바이러스로 위기에 빠진 저가항공사들

출처: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1/07/20/XEQDC7IYWFB43LIYECQENDYE3I/?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코로나 19 바이러스 문제로 여러 사업들이 난황을 겪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여행, 항공 산업이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여러 저가항공사들은 부족해진 운영자금을 끌어들이고,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유상증자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유상증자를 통해 부족한 운영자금을 구하는 것은 이해가 되지만, 유상증자를 통해 어떻게 재무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걸까요?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본과 자본잠식에 대해 먼저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자본이란 무엇인가?

재무 용어에서 '자본'이란 아래의 수식처럼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세 항목의 합으로 정의되는데요. 세 항목이 의미하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본금: 액면가 * 발행 주식수
  • 자본잉여금: 주식거래로 생긴 액면가초과금액, 예를 들어 액면가가 5000원인 주식을 8000원에 1주 발행했을 때, (발행가격 - 액면가)만큼의 액면가초과금 3000원이 발생하게 됩니다.
  • 이익잉여금: 당기순이익이 누적되어 쌓인 금액

자본잠식이란 무엇인가?

자본잠식은 자본이 자본금보다 작은 경우를 말합니다. 언제 자본이 자본금보다 작아지게 될까요? 자본잉여금과 이익잉여금이 마이너스이면 자본이 자본금보다 작아지게 됩니다. 참고로 이익잉여금과 자본잉여금이 마이너스인 경우 이익결손금과 자본결손금이라 부릅니다.

자본잠식은 또 부분자본잠식과 완전자본잠식으로 나뉘는데, 부분자본잠식은 자본이 자본금보다 작은 경우를 말하고, 완전자본잠식은 자본이 마이너스인 경우를 말합니다. 부분자본잠식은 회사가 당기순이익을 내지 못해 이익결손금이 쌓였구나 정도이지만, 완전자본잠식은 이익결손금이 회사의 기틀이 되는 자본금을 넘어 말 그대로 완전히 자본을 잠식 시킨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부분자본잠식이나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놓인 회사는 재무적으로 평가가 좋지 않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투자 자금 조달이 어렵습니다. 그리고 자본잠식 기간이 길어지면 상장폐지 또는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자본잠식에 빠진 회사들은 재무구조를 개선하려고 노력하는 것이죠.

유상증자를 통해 어떻게 자본잠식에서 벗어나는가?

유상증자를 하게 되면 어떻게 재무구조를 개선시킬 수 있을까요?

유상증자를 하게 되면 유상증자시 결정한 발행가액과 주식 수만큼 새로 주식을 발행하게 됩니다. 주식을 발행하게 되면 앞서 (발행가액 - 액면가) * (증자시 새로 발행한 주식수) 만큼 자본잉여금이 회사에 쌓이게 됩니다. 그리고 자본잠식에 빠진 회사는 유상증자를 통해 얻은 자본잉여금을 통해 자본잠식에서 빠져나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본금이 5000원, 자본잉여금이 1000원, 이익잉여금이 -5000원인 회사가 있습니다. 이 회사는 자본이 1000원으로 자본금 5000원보다 작기 때문에 부분자본잠식 상태에 놓입니다.

그런데 이 회사가 액면가 500원, 발행가액 1000원으로 10주를 발행한다면 이 회사의 자본금은 10000원, 자본잉여금은 6000원, 이익잉여금은 -5000원이 됩니다. 그리고 자본은 이 셋을 합한 11000원이 됩니다. 결과적으로 자본이 11000원으로 자본금 10000원보다 크기 때문에 자본잠식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유상증자는 주의해야 한다

유상증자를 통해 자본잠식에서 벗어난 회사는 투자에 주의해야 합니다.

위의 예에서 눈치채셨을 수도 있겠지만 유상증자시 자본잉여금은 늘어나지만, 이익잉여금은 그대로 마이너스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이 회사가 영업을 통해 돈을 벌어들이지 못하고 적자를 내는 것은 여전하다는 것입니다. 회사는 기본적으로 사업을 통해 이익을 창출해 그 이익을 투자자인 주주들과 공유해야 합니다. 따라서 적자를 내 자본잠식에 빠져있던 기업에 투자를 하는 것은 당연히 주의를 해야 합니다. 물론 유상증자를 결정한 회사가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곧 이익을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면 투자해도 괜찮겠지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