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5분 주식 공부

기업공시로 신주인수권부사채 이해하기 - feat. 두산중공업

오후식 2021. 8. 30. 06:31
반응형

안녕하세요. 마타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신주인수권부사채 이해하기 실전편으로 두산중공업이 발행한 신주인수권부사채 공시를 살펴보겠습니다.

이 글을 읽기 전에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잘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 글을 봐주세요.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신주인수권부사채, BW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마타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신주인수권부사채(BW)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앞선 글에서 설명한 전환사채(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는 주식연계채권 해당하기 때문에 서로 비

mataoh.tistory.com

두산중공업 신주인수권부사채 공시 파헤치기

신주인수권부사채 공시 분석을 위해 두산중공업이 2017년 4월에 20일에 발행한 "주요사항보고서(신주인수권부사채권발행결정)"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1. 사채의 종류"부분을 보면 공모 방식으로 채권을 발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모 방식의 자세한 내용은 "주1)"을 살펴보면 알 수 있는데요. 기존주주(구주주)에게 먼저 청약을 받은 뒤, 미청약금액을 일반공모로 청약받는 "주주우선공모방식"으로 채권을 발행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4. 사채의 이율" 부분을 보면, 표면이자율이 1%, 만기이자율이 2%인 것을 확인할 수 있네요.

 

출처: 네이버 금융

 

"9.신주인수권에 관한 사항"에서는 행사가액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23,450원으로 행사가액이 책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매입한 투자자는 신주인수권 행사를 통해 23,450원의 현금으로 (주)두산중공업 주식 1주를 인수할 수 있는 것입니다.

 

 

앞선 글에서 신주인수권부사채에 대해 소개할 때,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신주인수권과 사채를 분리해서 사용할 수 있다고 했는데요. 분리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시에서도 신주인수권의 가격을 따로 명시했습니다. 신주인수권의 이론가격은 2,779원으로 산정됐고, 이 가격은 행사가액 23,450원의 11.85%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물론, 이는 이론으로 산정된 가격이고 실제 신주인수권의 가격은 증권시장의 수요-공급에 따라 결정되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이론가격에 크게 의미를 두지 마시고, 신주인수권부사채에서 신주인수권을 분리해서 행사할 수 있다는 정도로만 이해하시면 좋을 거 같아요.

 

출처: 네이버 금융

두산중공업의 끝없는 행사가액 조정

두산중공업은 2017년에 발행한 신주인수권부사채의 행사가액을 23,450원을 결정했었습니다. 하지만 두산중공업은 채권 발행 이후, 행사가액 조정을 총 네 번이나 진행했는데요. 처음으로 이뤄진 행사가액 조정은 2017년 8월 3일이었습니다. 당시 발행가액을 23,450원을 19,100원으로 하락 조정했는데요. 조정사유는 시가하락에 따른 행사가액 조정이었습니다.

 

출처: 네이버 금융

다음으로 진행한 행사가액 조정은 2017년 11월 3일이었습니다. 행사가액은 19,100원에서 18,800원으로 다시 하락 조정됐는데요. 조정사유는 이전과 동일한 시가하락에 따른 행사가액 조정이었습니다.

 

출처: 네이버 금융

그 다음으로 진행한 행사가액 조정은 2019년 5월 17일로 18,800원에서 17,100원으로 하락 조정했습니다. 조정 사유는 시가를 하회하는 발행가액으로 유상증자 발행에 의한 행사가액 조정인데요. 유상증자로 발행된 신주의 가격이 시가를 하회했기 때문에 신주인수권의 가치를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 하락 조정한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만약 본인이 신주인수권을 행사해서 10000원에 1주를 살 수 있는데, 유상증자를 통해 어떤 사람이 9000원에 신주를 매입했다면 배가 아프겠죠?

 

출처: 네이버 금융

 

마지막으로 2020년 12월 11일에 행사가액을 17,100원에서 14,900원으로 조정했는데요. 조정 사유는 시가를 하회하는 발행가액으로 유상증자로 위와 동일했습니다.

 

출처: 네이버 금융

 

네 번에 걸친 행사가액 조정을 통해 23,450원이었던 행사가액이 14,900원이 된 것인데요. 행사가액이 대폭 조정돼었다고 해도 두산중공업의 주가 그래프를 보면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주가가 꾸준히 하락했으니, 신주 인수로 이익을 보기는 힘들었을 거 같습니다.

 

출처: 네이버 금융

반응형